^*^ 추 억/산행 및 여행 451

2024년, 설악향기로-아바이마을-영금정

◆ 속초여행      설악향기로 스카이워크-출렁다리(11:00~11:50) -      아바이마을((12:40~13:40) - 영금정(13:50~14:10)   9월 초순 우연히 인터넷에,지난 8월 19일, 설악산 절경을 한눈에 바라보며 걸을 수 있는,설악향기로가 개통되었다는 소식을 접했다.속초에 올 기회가 생기면 한번 가보자 마음먹었었는데,이번 추석연휴에 남매들이 어디 놀려갈만한 곳을 찾기에 이곳을 추천했다. 하지만 오는 날이 장날이라고,동해고속도로에 들어서자 비가 오더니,설악향기로주차장에 도착해 스카이워크를 걷는 내내 소나기가 쏟아진다. 그래서 선명한 설악산경치를 감상하지는 못했지만,안개에 둘러쌓인 신비한 설악산의 모습에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설악향기로는,설악동 일대 1,724㎡ 면적의 소공원과, ..

2024년, 강릉 물놀이계곡 명소

◆ 2024년, 강릉 물놀이계곡 명소 올 여름 강릉지방은,섭씨 30도를 넘는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다.동해안과 접한 도시인 강릉은 대부분 여름이면 바다에서 피서를 즐기지만,끈적거리는 소금기가 깃든 바다가 싫은 사람은 계곡을 찾는다.그러나 물놀이를 즐길만한 계곡을 선택하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다. 그동안 꽤 많은 계곡을 다녀왔음에도,막상 물놀이를 가려하면 여러 조건들이 맞지 않아 선택하기가 힘들다.게다가 요즘은 취사가 가능한 계곡이 많지 않아,가족단위로 물놀이를 즐길만한 안전한 계곡을 찾기란 쉽지 않다.그래서 다녀온 계곡 위주로 정리해 보았다. 취사와 물놀이가 가능한 계곡은,오토캠프장이나 마을에서 운영하는 마을휴양지가 좋다.오토캠프장은 성산면 어흘리 삼포암계곡의 대관령솔내음오토캠프장, 연곡면의 장천마을유원지,..

2024년, 평창진부 밀브릿지 방아다리약수

◆ 2024년, 평창진부 밀브릿지 방아다리약수 평창군 진부면 밀브릿지는,오대산국립공원내 방아다리약수터 일대에 조성된 자연체험학습장이다.입구에서 약수터까지 60년 이상의 울창한 아름다운 전나무숲길이 약 300m 이어진다.,이곳 전나무 숲에는 숙박시설과 산책로, 약수체험장, 명상원, 미술관 카페, 식당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은 그야말로 야생의 숲이다.하늘을 가릴 정도로 빽빽하게 자란 전나무 숲에는,노루오줌, 물봉선 등 야생화와 푸른이끼들이 개울 가득 자린다.그리고 지친 심신을 달랠 수 있는 쉼터가 숲속 곳곳에 마련되어 있어.숲속 3개의 산책로를 걸으며 대자연의 풍취에 흠뻑 취해보아도 좋을 것이다.  밀브릿지는 방아다리의 영어식 표기이다.예전에는 도로 입구에서 약수터까지 이어지는 명풍 전나무숲을 오갔는데,..

2024년, 삼척 울릉도전망대

◆ 2024년, 삼척 울릉도전망대 삼척 강원종합박물관을 관람하고 ,강릉으로 돌아오는 길에 울릉도전망대란 이정표를 보았다.삼척에 왠 울릉도전망대란 호기심에 차를 돌려 우측 지방도를 따라가자,인구 680명 정도가 사는 오지마을인 삼척시 노곡면이 나타났다. 이어 근덕으로 넘어가는 들입재터널이 나왔다. 네비는 들입재입구에서 우측 도로로 가란다.터널 앞에는 고봉암과 울릉도전망대 입간판이 서 있었다.가파른 산악길을 타고 약 15분 정도 오르자 탁 트인 공간이 나온다.이곳 도로 옆이 바로 울릉도전망대이다. 이곳 전망대에서,망원경으로 울릉도를 볼 수 있다고 한다.하지만 아무리 보아도 산맥만 보일 뿐 울릉도를 보이지 않는다.다소 실망스러웠지만, 이런 한적한 지방도를 달리며,농촌풍경을 바라보는 것으로 위안 삼기로 했다.

2024년, 삼척 강원종합박물관

◆ 삼척 강원종합박물관 강원종합박물관은,2004년 12월 학교법인 대진교육재단에서,동,서양의 고건축 양식을 응용하여 건립된 박물관시설이다.세계 각국에서 수집된 자연사 및 도자기, 금속공예, 민속, 종교, 목공예, 석공예 등,유물 20,00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관람코스는,번호에 따라 관람하는 것이 좋다.1층 자연사 전시실 – 2층 도자기 전시실 – 3층 금속공예 전시실 – 4층 동굴,중유석 전시실을 구경하고 내려와 옆으로 이동하여,세계종교민속 – 목공예전시실을 돌아보고 야외의 종유석과 폭포 등을 관람하면 된다.

2024년, 정선 가리왕산 장구목이 이끼계곡

◇ 일시 : 2024년 07월 28일◇ 코스 : 장구목이(10:07) – 1폭포(11:12) – 목교(11:28) -                장구목이(12:07) 이끼계곡 약 2시간 탐방   나는 궁금하다.장구목이란 지명의 뜻을 말이다.가리왕산은 옛날 춘천지방의 맥국의 가리왕이 이곳에 피난하여,성을 쌓고 머물어서, 또는 곡식을 쌓아놓았다는 (가리)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하지만 아무리 찾아봐도 장구목이에 대한 설명은 없다. 정선 가리왕산은,자작나무와 주목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산나물의 보고이기도 하다.  특히 이곳엔 자연산 누룩치(누리대)가 많이 난다 해서 예전에 곳곳을 살폈었다.그러다 정상에서 만난 정선에서 오신 부부에게서 누룩치와,갓김치전병을 얻어먹고 감격스러워 했었다. 이곳 장구목이 이끼계곡은,..

2024년, 정선 항골숨바우길 청정이끼계곡

◇ 일시 : 2024년 07월 12일◇ 코스 : 항골마을유원지주차장(10:50) – 숨바우골 입구(0.50㎞, 11:11) – 너래바위(11:18) - 이정표(0.5㎞, 11:23) – 이정표(0.2㎞, 11:27) - 제1용소(11:38) - 섬소나무(11:45) - 이정표(0.68㎞, 11:46) - 거북바위(11:53) - 모래소(12:00) - 화전민터(12:07) - 왕바위소(12:17) -이정표(임도제2진출로, 1.34㎞, 12:28) - 제2용소(12:37) - 쌍폭포(12:53) -이정표(0.62㎞, 13:01) - 이정표(0.48㎞, 13:09) - 긴폭포(13:14) -이정표(0.50㎞, 13:34) - 섬소나무(14:42) - 제1용소(14:45) - 너래바위(15:01) - 숨바우골..

2024년, 평창 매화마을 녹색길 트레킹

◆ 2024년, 평창 매화마을 녹색길 트레킹 ◇ 일시 : 2024년 07월 08일◇ 코스 : 주차장(14:00) – 안내지도(14:14) – 소나무숲길(14:18) -아양정(14:20) – 마지리전망대(14:37) - 김삿갓시비(14:51) -평창강절벽 - 응암리(매화마을, 14:56) - 마을도로(15:10) - 주차장(15:40) 약 1시간40분 소요   매화마을 응암리는 평창군 장암산 아래,굽이굽이 흘러가는 평창강변 기암절벽 아래 위치한 마을이다.매화마을 하면 흔히 매화나무를 떠올리게 되지만 매화나무는 한그루도 없다.응암리라는 마을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매화마을은 매에게서 화를 당해 유래된 이름이다.우리 말로 매바위마을로 임진왜란의 슬픈 전설이 깃든 농촌마을이다. 매화마을의 유래는,임진년(1592..

2024년, 영월정선 동강전망자연휴양림

동강전망자연휴양림은,정선 동강로에서 우측 산기슭을 올라가야 한다.흔히 동강하면 강이라, 전망대 역시 강 가까운 곳이라 착각하기 쉽다. 동강전망자연휴양림은 굽이굽이 산허리를 돌고 돌아올라 다시 굽이굽이 내려가,해발 600m 오토캠프장까지 약 2.5㎞ 급경사도로 끝에 있다. 이곳 전망대는, 백운산 아래로 펼쳐진 동강비경을, 가장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그리고 동강로의 나리소전망대에 서면 동강의 푸른 물길이 보인다.  동강전망자연휴양림은 오토캠프장에 가깝다.요즘 핫플래이스인 전망대에 오르면 동강뿐만 아니라,백운산이 품고 있는 점재마을과 제장마을이 그림처럼 한눈에 들어온다.그 풍경을 조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마음이 힐링되는 곳이다.

2024년, 영월 요선암돌개구멍–요선정마애석불좌상

주차장에 도착해서야,요선암과 요선정이 무릉리 같은 곳에 위치해 있음을 알았다.우거진 숲길을 잠시 따라가자 미륵암이 보이고,미륵암 좌측은 요선암돌개구멍, 우측은 요선정으로 올라가는 갈림길이다.먼저 요선암으로 내려갔다. 미륵암을 돌아내려가자 ,꽤 넓은개울이 보이고, 표지판 주변으로 기기묘묘한 돌들이 널려있다.요선암돌개구멍은, 봉래 양사언이 평창군수 시절 이곳에 와,암반위에 요선암이라는 글자를 새겨서 유래된 곳으로,돌개구멍은 주천강의 유수에 의해 암반에 생긴 원통형의 구멍이다. 너무나 신비스러워,요선암 주변 바위들을 돌아다녔다.아쉬움을 접고 마애석불좌상을 보기 위해 요선정으로 향했다 요선정으로 가는 길은 급격사오르막이라 다소 힘들다.테크길을 오르자 눈 앞으로 보이는 마애석불이 새겨진 바위가 너무나 신비롭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