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억/산행 및 여행

2018년, 충북괴산 희양산

소우(小愚) 2018. 5. 28. 15:59

 

 

 

 

 

 

           ◆◆ 2018년, 충북괴산 희양산 

 

           희양산을 등산하고자 한지 벌써 3년이 지났다.

           희양산은 가나다라 순번 중 마지막 <ㅎ>에 속한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중 마지막 산이다.

           문경새재에서 속리산 쪽으로 흐르는 백두대간 줄기에 우뚝 솟은

           해발 999m인 희양산(曦暘山)은,

          경북 문경시 가은읍과 충북 괴산시 연풍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그 모습이 우뚝하고 산 전체가 하나의 바위처럼 낭떠러지들이 하얗게 드러나,

          어느 곳에서나 쉽게 알아볼 수 있다.

 

 

◇ 은티마을

 

 

 

 

           산행의 시작은 은티마을주차장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마을을 둘러싸고 여러 개의 산봉우리가 있어 등산들머리를 찾기가 쉽지 않다.

          남극석으로 유명한 은티마을은 달리 여근곡이라 불렸다.

           음기를 잡기 위해 전나무를 심고 약 120㎝ 남근석을 사이에 두고,

          그 옆으로 작은 돌들을 쌓았다고 전해진다.

 

 

◇ 등산들머리

 

 

 

 

           낙낙장송이 우거진 은티마을유래비를 지나 다리를 건너 좌측도로를 따라 올라가다,

           산 밑으로 펜션 3채가 보이는 곳에서 직진하여,

          과수원 중앙으로 뚫린 도로를 따라가면 등산들머리가 나온다.

           이 곳 은티마을 주차장에서 산행들머리까지는 대략 20~30분이 걸린다.

 

           산행은 주로 현위치에서,

          지름티재-미로바위-정상-성터-희양폭포-갈림길-현위치의 약 3시간 1코스와,

           호리골재-마당바위-구왕봉-지름티재-미로바위-정상-성터-희양폭포-

          갈림길-현위치의 약 4시간30분 2코스가 있다.

 

 

◇ 구왕봉에서 지름티재로 내려가는 로프지대

 

 

 

 

           그러나 산행을 직접 해 본 결과,

           등산안내도에 나온 산행시간은 믿지 않는 게 좋다.

           실재 거리는 얼마 되지 않아도 지름티재를 중심으로 구왕봉과 희양산으로 오르는 로프지대는,

           가파르고 다소 물기가 있는 급경사면을 밧줄과 나무나 나무뿌리를 붙잡고,

          힘겹게 올라가거나 내려가야 한다.

 

           나의 생각으로는,

          희양산과 구왕봉 정상 두 곳 다 서기를 원한다면,

          성터코스나 호리골재코스로 산행하기를 권하고 싶다. 

 

 

◇ 국수나무 꽃길

 

 

◇ 꽃몽오리 맺힌 산수국

 

 

 

 

           나의 산행은 제 2코스이다.

           국수나무가 즐비한 등산로를 마치 산책하듯 시작했다.

           옆으로 물이 마른 계곡이 이어지고,

          마른 산수국이 있는 비탈길을 오르자 호리호재(묘)가 보인다.

 

           여기서 구왕봉까지는 약 1.6km로,

          작은 언덕을 오르내리며 가다 구왕봉 아래에서부터 다소 급경사를 올라가야 한다.

          구왕봉 바로 밑 조망지에서는 하얗게 들어난 낭떠러지기와 은티마을이 한 눈이다.

 

 

◇ 구왕봉 아래 조망지 1

 

 

 

 

            첫 봉우리인 구왕봉은 해발 879.4m이다.

             지증대사가 봉암사 터를 정하고 그 자리에 있던 큰 연못을 매울 때,     

             연못에 살던 용을 쫒아낸 곳이 바로 이곳 구왕봉이다.         

             이곳 정상에서 은티마을 쪽으로 뻗은 2~3백 미터의 하얗게 들어난 단애가 단연 압권이다.

 

            그러나 사방이 막히고,

            검은 정상표지석이 너무 작고 볼품없으며,

            산행방향을 알려주는 이정표조차 없다는 사실이 조금 아쉽다.  

 

 

◇ 구왕봉 879.4m

 

 

 

 

           구왕봉을 조금 내려가면 희양봉이 한 눈에 들어오는 조망지가 나타난다.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희양봉을 바라보며 쉬거나 참을 먹고 있어 조망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서부터 다소 위험한 로프지대로 조심하면,

          아슬아슬한 산행의 묘미와 즐거움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암벽사이로 좁게 길이 난 급경사를,

          뒤돌아서 내려가노라면      그 아찔함과 쫄깃쫄깃한 스릴도 왠지 즐거운 기분이다.

           급경사를 내려와 숨을 가다듬을 쯤 지름티재이다.

 

 

◇ 지름티재

 

 

 

 

           지름티재에서 희양봉으로 올라가는 등산로 옆으로 작은 울타리가 있는데,

           아마 이것은 봉암사로 하산하지 말라는 출입금지지역이리라‘

           로프지대를 힘겹게 내려와서 잠시 목을 축이고 쉬었지만,

          모처럼 험한 산행에 나선 나의 다리는 천근만근이다.

 

           정상까지 1.5km 비교적 짧은 거리나,

          급경사라 서둘러 배낭을 추스르고 산행에 나섰다.

           하지만 이내 쉬기를 반복하고 있다.

 

 

◇ 거북바위

 

 

◇ 바위를 등짐진 단풍나무

 

 

 

           쉬며가며 거북바위를 지나자 미로바위가 나타났다.

           좁은 바위틈으로 들어가자 미로라는 말에 어울리는 좁은 바위틈이 보인다.

           눕고 구부리며 빠져나오자 바위 아래 혹은 위로 나올 수 있었다.

 

           미로바위에서 다시 20여분을 비탈길을 오르자,

          온통 로프밧줄이 늘어선 까마득한 절벽이연이어 보인다.

           지금부터 내가 올라가야하는 난코스라 생각하니 왠지 힘이 쭉 빠지고 발걸음이 무겁다.

 

 

 

 

           이 지대는 거의 직벽에 가깝다.

           밧줄을 붙잡거나 나무나 나무뿌리를 디딤 삼아 올라오는 내내 긴장감이 넘쳐난다.

           힘들다 싶으면 발아래나 맞은편으로 펼쳐진 경치를 보면서 쉬어가지만 여간 조심스럽지 않다.

           그리고 바위틈으로 새어나온 물기가 여간 미끄럽지 않다.

          능선갈림길에 이르자 얼마나 힘들고 긴장하고 올라왔는지 꼼짝하기 싫다. 

 

 

 

 

 

 

           능선바위에 걸터앉아 약 10여분을 쉰 뒤 정상을 향했다.

           능선이정표에는 정상까지 거리표시가 없지만, 성터갈림길 이정표로 미뤄볼 때 약 0.2km 정도다.

           약 5~6분을 올랐을까 전방이 확 트인 조암이 뛰어난 암릉지대가 나타났다.

 

           암릉을 따라 구암봉을 비롯한 크고 작은 봉우리와 산골짜기,

          이곳저곳 저마다 멋을 뽐내는 수많은 바위군상,

           그리고 산 아래로 아스라이 들어오는 봉암사와 이어진 마을풍경들, 그야말로 장관이다.

 

 

 

 

 

 

           정상에서의 조망은 장쾌하고 아름답다.

          산 아래에 자리한 봉암사 위 백운곡은,

          우거진 숲 속 암반 위로 흐르는 맑은 물은 기암괴석과 폭포를 이루고,

          옥석대 바위에 있는 마애불좌상이나 백운대 경관은 그야말로 천상에 든 듯하다.

           그리고 바위 곳곳에 파인 작은 웅덩이가 물을 품고 있고          바위와 나무들이 어울려 그 신비를 더한다. 

 

 

◇ 최대로 클로즈업한 봉암사 전경

 

  

           정상에서 되돌아 성터로 내려가는 능선은 참나무 숲이다.

           성터는 희양산 주봉 뒤편 산기슭에 있는, 높이 1~3m, 폭 4m의 석성이다.

           이 기록은 동국여지승람에 신라 말 견훤이 쌓았다는 설이 전해지는데, 지금은 약 140m 정도가 남아있다.

           성터에서 은티마을 계곡까지는 깨 긴 거리의 급경사 바위 비탈길이 이어지므로 유의해야 한다.

          하산길에 희양폭포를 봤으면 좋으련만, 물이 말라  사라졌다니 왠지 아쉽기만 하다.

 

 

◇ 성터

 

 

 

 

 

                       ◇ 상세여정

 

                       08:30  은티마을 유료주차장 도착 - 산행준비 후 출발

                       08:40  은티마을유래비

                       09:10  등산들머리(0.8km, 30분, 직-희양산 3.6km, 우-구왕산, 3.0km) - 우측

                       09:47  호리골재(3.0km, 37분, 좌-구왕봉 1.6km, 우-악휘봉 3.0km) - 좌측

                       10:51  조망지 

                       11:05  구왕봉(해발 879m, 1.6km, 1시간 18분) - 좌측

                       11:13  조망지 - 급경사 로프지재, 안전주의 요함

                       11:41  지름티재(0.5km, 36분, 직-희양산 1.5km, 좌-은티마을 3.0km) - 직진

                       11:58  거북바위 - 지지대로 고인 거북, 또는 가오리모양의 바위

                       12:20  미로바위 - 바위 틈 사이로 들어가면 어느 방향으로 나올지........

                       12:58  로프지대 - 로프를 붙잡고 오르는 약 400m의 급경사길 - 물기로 매우 미끄러움 - 안전주의

                       13:15  능선갈림길(1.5km, 1시간 34분, 좌-시루봉 3.0km, 우-희양산, 약 0.2km) - 우측

                       13:25  암릉지대 - 정상으로 이어진 조망지 - 산 밑으로 아스라이 봉암사가 보인다.

                       13:40  희양산(해발 999m, 0.2km, 25분) - 사진촬영 및 휴식과 경치 감상 후 되돌아섬

                       14:03  능선갈림길(0.2km, 23분, 직-시루봉 3.0km, 좌-구왕봉 1.5km) - 직진

                       14:20  성터(0.8km, 17분, 좌-은티마을 3.2km, 직- 시루봉 2.2km) - 좌측 

                       15:36  등산날머리(3.2km, 1시간 16분) - 산행 약 6시간 30분소요

                       16:06  은티마을 유로주차장(0.8km, 30분) - 총 12.6km, 8시간 36분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