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우(小愚) 2009. 2. 10. 17:05

 

 

 

 

 

                    ◆ 봉수대 

 

                                                   강릉봉수대는 초당동에 이르는 춘갑봉 산책로 중 종합운동장 옆 산책로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강릉봉수대는 강릉의 4주(기둥)산인,

                                                   모산봉과 월대산, 시루봉, 태장봉과는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다.

                                                   또한 강문 바다와도 직선거리로 10리(4Km)이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고려시대의 행정업무를 도맡아 보던 칠사당도 마주 보이는 요새이다.

 

                                                   강릉시내와  멀리 대관령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는 이 곳 봉수대는,

                                                   강릉시민 대다수가 강릉지역에 봉수대가 있다는 사실을 모를 정도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봉수는 밤에는 횃불로써 알리는 봉(烽)과 낮에 연기로써 알리는 수(燧)를 합친 말이다.

                                                   봉수는 변경지방의 긴급한 상황을 중앙 또는 변경의 진영(鎭營)에 알리는 통신체제로,

                                                   주로 군사상의 목적으로 설치 운영하였다.

                                                   봉수의 시원은『삼국사기』․『삼국유사』에 나타나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미 삼국시대에 봉화에 의한 통신법이 있었을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군사적 의미의 봉수제의 성립은 고려 의종 3년(1149) 8월 이후이다.

                                                   고려의 봉수제는 원 지배 하에서 상당기간 중단되었다가,

                                                   고려 말에 이르러 왜구의 침입이 빈번해지면서 더욱 정비 강화되었다.

 

                                                   조선건국 초기에는 고려의 봉수제를 거의 그대로 답습하다가

                                                   세종대에 와서 거화거수법)(炬火炬數法) 등의 관계규식을 새로이 정비하고,

                                                   각도 연변에 연대(烟臺)를 새로 축조하고,

                                                   나아가 봉수로를 회정하는 등 봉수제를 대대적으로 정비하였고 한다.


                                                                                                                                                 참조 : 다음 카페  꽃과 바람과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