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 서 장/순 수

진정 슬픈 것

소우(小愚) 2008. 9. 25. 12:09

    

 

                          어제 문득 사람이 늙어간다는 건 참으로 슬픈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외할머니께서는 올 해로 아마 98세가 되었지 않나 싶다.

                          어린시절 그렇게 정답고 살갑게 대해주시던 외할머니께서 치매로 자리를 보전하신지 10년이 훨씬 지났다.

                          워낙 깔끔하셨던 분이라 치매로 고생하시면서도 대소변은 스스로 치우시고 식사도 혼자 하셨는데

                          작년부터는 심해져 노인요양원에 계신다.

 

                          그래서 사업에 실패한 외삼촌은,

                          진부에서 메밀전이나 감자송편을 만들어 파는 장사를 하시는데 늘 병원비에 시달린다.

                          본인의 의지로 살 수 없을 때가 도달하면 쉽게 돌아가시면 좋으련만 이런 구차한 생을 살아야 한다니...

                          그동안 늘 자식들에게 사랑과 정성을 베풀어주시던 어머니의 따뜻한 사랑마저 잊어버릴 정도로,

                          삶에 대한 절망과 안스러움만  남기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속이 답답해온다.

 

                          그런데도 나는 내 살기에 급급하여 병원비 한 번 내드리지 못했다.

                          맏딸인 나의 어머님도 이미 올 해가 지나면 여든이어서 혼자 사는 삶이 버겁다.

                          누구나 행복하고 기쁜 일만 겪고 살기를 바랄 수도 없지만, 평생 건강하게 살 수 있기를 소망한다.

                          그리고 죽는 날까지 온전한 정신을 갖고 스스로 책임질 수 있기를 절실히 바라게 된다.

                          하지만 사람은 태어날 때 그랬듯이 죽을 때도, 아니 죽어서도 남의 도움에 의지해야 한다.

 

                          만물의 영장이고 고귀한 존재라고는 하지만,

                          마지막을 가족을 비롯한 주위사람들의 축복 속에 세상을 하직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전부는 아니지만 거의 대부분은 나이가 들어 경제적 능력이 없어지면

                          사실상 인생의 종착역에 도착한거나 다름없다.

 

                          아무리 돈이 많고 명예가 높아도 스스로의 의지로 활동할 수 있을 때나 가능한 것이지,

                          자리를 보전한 채 남의 힘에 의지하는  순간부터는 이미 소중한 삶의 한 부분을 상실한 것과 같다.

                          문득 자신의 미래를 돌아보면 초라하기 짝이 없다. 

                          그야말로 일장춘몽과고 같다.

 

                          도통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지 모르겠다.

                          과연 나의 생을 유지하기 위해 사는 것인지...

                          아이나 가족의 뒷바라지를 위해 사는 것인지,..

                          이도저도 아니면 그저 즐거움을 위해 생을 죽이며 살고 있는지...

                          스스로 사는 것 자체가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허전함만 더해진다.

 

                          주변에 사람들이 있지만,

                          홀로 된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많아 스스로 고독해지거나 우울해지고는 한다.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거나 감성을 자극할 만한 일들이 생겼으면 좋으련만,

                          늘 반복되어지는 일상은 날로 스트레스만 쌓이니 도통 사는 재미가 없다.


                          친구들과 어울려 서로의 부모에 대해 대화하다 보면 “누구 엄마는 이제 돌아가셔야 할 텐데.”

                          물론 혼자서 거동하지 못하고 고생하는 모습이 안타까워하는 말이지만,

                          우린 이런 이야기를 서슴없이 하게 된다.

                          얼마 안 있으면 바로 우리 스스로가 그러한 위치가 될 터인데도,

                          불행이 내 앞에 닥치지 않는 한 외면하고 살게 된다.

 

                          내게는 그러한 일이 오지 않기를 바라지만,

                          어디 그것이 원한다고 해서 외면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한 치 앞도 보지 못하는 것이 인생이지만 스스로를 돌아보면 참으로 슬프다.


                          고생하고 다투고 지지고 복고 살아도,

                          희망과 꿈을 향해 거침없이 앞만 보고 달려 나갈 때가 가장 행복한 때가 아닌가 싶다.

                          지나온 삶을 되돌아보는 순간부터는 이미 늙어가는 것이다.

                          생에 대한 즐거움보다는 죽음에 대한 공포와 인생의 덧없음이 더 큰 무게로 다가옴을 알게 되는 것 같다.

 

                          얼마 안 있으면 퇴직해야 하는데,

                          아직도 아이들에게 들어갈 돈은 천정부지로 쌓이고, 노후를 대비할 자금은 턱없이 부족하고,

                          친구들은 이미 한두명씩 자녀들을 출가시키고 있는데...

                          조급한 마음에 건강마저 자신할 수 없는 자신의 모습이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

 

                          누가 무어라 해도 남자는,

                          가장으로서 자신의 가정만큼은 튼튼하고 견고한 울타리로 감싸 안고 싶은 욕망이 있다.

                          그런데 그러한 각오가 무너지고 있음을 알 때 그것은 몸이 아픈 것 이상으로 마음이 아픈 것이다.

                          사람이 가장 슬플 때는 스스로가 늙었음을 인정할 때다.


                          사람은 스스로 자신의 일을 할 때가 가장 행복한 것 같다.

                          이러한 행복을 지키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건강해질 필요가 있다.

                          몸의 건강뿐만 아니라 마음의 건강, 정신의 건강도 함께 조화를 이뤄야  삶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몸과 마음이 즐거울 수 있도록 일상의 패턴을 수정 할 필요가 있다.

 

                          틀에 짜여진 일상을 과감이 던져버리고 자신만의 시간의 여백을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도움이 되고 필요하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남을 위한다거나, 어쩔 수없이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내가 하는 모든 일들이 나를 위한 일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나의 일이라는  생각을 해야 하는 일이 즐거울 수 있고 행복할 수 있는 것이다.

                          자! 이제 오늘 하루만이라도 우리 모두 크게 한번 웃으며 일상을 시작해 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내 삶이여!  나의 인생이여! 

                          그리고 늙어가는 내 영혼의 젊음을 위해  회이팅을 외치자.